헌옷·물품 기부하고 세액공제 받는 방법 완벽 가이드

집에 쌓여있는 안 입는 옷,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을 정리하면서 좋은 일도 하고 연말정산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헌옷과 물품을 기부하고 기부금 영수증을 받을 수 있는 대표 단체들과 구체적인 기부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헌옷 물품 기부 세액공제
헌옷 물품 기부 세액공제

세액공제 혜택은?

헌옷과 물품을 기부하고 받은 기부금 영수증은 연말정산 시 자동으로 기부금 공제에 반영됩니다. 기부금액의 15%를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4만원의 기부금 영수증을 받았다면 연말정산 시 3만6천원을 세액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어요. 버리려던 물건으로 세금 혜택까지 받는 일석삼조의 효과입니다!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하는 대표 단체

아름다운가게

물건의 재사용과 순환을 통해 생태적 변화에 기여하고, 국내외 소외이웃과 공익활동을 지원하는 단체입니다.

아름다운가게 홈페이지
아름다운가게 홈페이지

기부 가능 물품

  • 의류, 가방, 신발, 액세서리
  • 생활용품, 주방용품, 인테리어 소품
  • 책, 음반, 완구
  • 가전제품, 가구 (판매 가능한 상태)

기부 방법

  1. 방문 기부 : 전국 매장에 직접 방문하여 기부
  2. 수거 신청
    • 홈페이지(www.beautifulstore.org) 또는 전화(1577-1113)로 신청
    • 박스 또는 봉투 3개 이상부터 수거 가능
    • 포장 크기: 우체국 5호 박스 또는 종량제 봉투 50L 정도
  3. 택배 기부
    • GS25, CU 편의점 택배(5kg 이하, 택배비 본인 부담)
    • 일반택배 발송 가능

기부금영수증 발급

  • 기부 후 받은 알림톡의 ‘기부금영수증 신청하기’를 통해 직접 신청
  •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8일 후 조회 가능
  • 개인은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 자동 반영

굿윌스토어

장애인의 일자리를 만드는 사회적 기업으로, 기증품 판매 수익금으로 장애인 고용을 지원합니다.

굿윌스토어 홈페이지
굿윌스토어 홈페이지

기부 가능 물품

  • 의류, 신발, 가방
  • 생활용품, 주방용품
  • 가전제품, 가구
  • 서적, 완구

기부 방법

  1. 방문 기부: 전국 매장에 직접 기증
  2. 수거 신청:
    • 홈페이지(goodwillstore.org)에서 온라인 신청
    • 수거 당일 “굿윌스토어 기증품”이라고 표기 후 현관문 앞에 보관
    • 박스 사이즈: 우체국 5호 박스 권장
  3. 굿윌기부함: 일부 지역에 설치된 기부함 이용
    • 기부신청서와 전용 봉투 비치

기부금영수증 발급

  • 굿윌스토어 확인 절차를 거쳐 일주일 이내 발급
  •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 자동 적용
  • 12월 31일까지 입고된 기증품만 해당 연도 연말정산 처리

3. 옷캔(OTCAN)

의류 재활용을 통해 국내외 소외계층을 돕고, 의류 재순환을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NGO 단체입니다.

옷캔 홈페이지
옷캔 홈페이지

기부 가능 물품

  • 주로 의류 중심
  • 의류 재고 기부도 가능

기부 방법

  1. 방문 기부: 옷캔 거점 방문
  2. 수거 신청: 홈페이지(otcan.org)를 통한 수거 신청 가능
  3. 기업 재고 기부: 의류 재고 대량 기부 가능

기부금영수증 발급

  • 기부 후 신청을 통해 발급
  • 봉사시간, 봉사점수 인증도 가능
  • 연말정산 소득공제 가능

기부 전 체크리스트

기부 가능한 물품 조건

  • 깨끗하게 세탁되어 있는 상태
  • 파손되지 않고 사용 가능한 상태
  • 재판매 또는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상태
  • ※ 중요 : 버리는 물건이 아닌, 나눔할 수 있는 물건

기부 불가능한 물품

  • 오염되거나 찢어진 의류
  • 작동하지 않는 가전제품
  • 파손된 가구나 식기류
  • 속옷, 양말 등 위생용품(단체별 차이 있음)

기부 시 주의사항

  1. 영수증 발급을 위해서는 신청 필수 : 임의로 보낸 택배물품은 익명기부로 처리되어 영수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2. 연말정산 시기 확인 : 12월 31일까지 입고된 기증품만 해당 연도 연말정산에 반영됩니다.
  3. 물품 포장 : 박스나 봉투에 담아 단체명을 명확히 표기해주세요.
  4. 개인정보 입력 : 기부금영수증 발급을 위해 정확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가 필요합니다.
  5. 지역별 차이 : 물품 상태나 종류에 따라 지역별로 기부 가능 여부가 다를 수 있으니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헌옷과 물품 기부는 단순히 집안 정리를 넘어 환경 보호, 이웃 돕기, 세금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입니다. 옷장 속에서 잠자고 있는 옷들,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을 정리하면서 좋은 일에 동참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위에 소개한 단체들 외에도 지역 사회복지관, 종교단체 등 다양한 곳에서 물품 기부를 받고 있으니, 가까운 곳을 찾아 기부해보세요. 여러분의 작은 나눔이 누군가에게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정보

➡️ E-순환거버넌스,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 공공복지에 자주 쓰이는 말 「 바우처 」가 뭐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