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습기 원리, 구입 전에 정확하게 이해하기

덥고 습한 여름에 차가운 물 잔을 놔두면 물잔 표면에 물이 맺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물은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가 차가운 물잔을 만나면서 물입자가 응축되어 물방울로 변한 겁니다. 바로 이것이 제습기의 원리입니다. 이 원리는 차량용 에어컨, 가정용 에어컨등의 제습기능과도 동일 합니다.

이렇게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물로 변해서 분리되면 공기는 건조한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이런 원리를 기계적으로 제습기능만을 구동할 수 있게 만든 제품이 제습기 입니다.

제습기 구동 메카니즘

냉매의 순환

  1. 압축기 : 냉매순환 할 수 있도록 펌프기능과 냉매를 압축해 압력을 높이는 기능 (압축에 의해 냉매가 뜨거워짐)
  2. 응축기 : 뜨거워진 냉매식히는 장치 (냉매는 식으면서 액화됨)
  3. 증발기 : 응축기에서 액화된 냉매가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하는 부분 (기화되는 과정에서 주변 열을 흡수하여 공기가 차가워짐)
  4. 기체가 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보내져 압축되고 위의 과정이 반복됨

공기의 순환

  1. 습한 공기 흡입
  2. 냉매의 기화 의해서 온도가 낮아진 증발기 표면에 습한 공기가 접촉 (수분이 물방울로 변화)
  3. 증발기를 통과한 차갑고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를 지나면서 다소 데워짐
  4. 건조하고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
제습기 원리 이해도 (출처 : LG전자)

제습기에서 왜 더운 바람이 나오죠?

제습기는 증발기와 응축기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증발기를 지나면서 습기가 빠지고 차가워진 공기가 곧 바로 열이 있는 응축기를 지나가게 되어 있어서 따뜻하고 건조한 바람으로 변해서 배출되는 것입니다.

에어컨 제습기능 vs 제습기

에어컨

  1. 에어컨은 실외기에 압축기와 응축기가 있어서 냉매를 식히는 응축기의 열은 별도로 외부로 배출됩니다.
  2. 실외기 응축기에서 식은 냉매는 실내기 증발기로 이동해서 기화 하면서 공기를 식히고 습기를 제거 합니다,
  3. 실내기 내의 증발기에서 식혀진 공기는 실내에 배출되어 공기를 식힙니다.
  4. 실내기에서 밖으로 연결된 배수 호스를 통해서 연속적으로 배수가 가능 합니다.

제습기

  1. 제습기는 실외기가 없이 압축기와 응축기가 일체형으로 있어 냉매를 식히는 응축기의 열이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습니다.
  2. 증발기에서 건조하고 식은 공기는 응축기를 통과 하면서 따뜻하게 변해서 배출 됩니다.
  3. 제습기의 주요기능은 제습이기 때문에 공기를 식히는 기능이 필요 없습니다.
  4. 제습기는 물통으로 배수를 하기 때문에 연속 배수가 불가능 하고 수시로 물통을 비워야 합니다.

함께보면 좋은 정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